기사 메일전송
대체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게 뭐야?
  • 에릭 한 경제 전문기자
  • 등록 2025-07-29 19:55:26
  • 수정 2025-07-29 20:07:08
기사수정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은 가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된 암호화폐다.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일반 암호화폐는 가격 변동이 크지만, 스테이블 코인은 달러(USD) 같은 안정적인 자산에 가치를 연동해서 가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스테이블 코인의 종류


  1. 1. 법정화폐 담보형
    • 실제 달러나 원화를 은행 계좌에 예치해두고, 그만큼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
    • 대표 예시: USDT(Tether), USDC(Circle), BUSD(Binance)

이름

발행 주체

담보 자산

주요 특징

USDT

Tether Limited (iFinex 산하, 홍콩 기반)

미국 달러, 현금성 자산, 단기 국채 등 다양한 자산 혼합

- 가장 오래된 스테이블 코인- 준비금 구성 비율에 대한 투명성 논란 있었음- 발행량 기준 세계 최대 규모

USDC

Circle (Centre Consortium: Circle + Coinbase)

100% 미국 달러 및 미국 국채 등 완전 준비금

- 규제 친화적- 정기 감사 및 투명한 재무 공개- 미국 중심의 신뢰성 높은 스테이블 코인

BUSD

Binance + Paxos (※2023년 이후 Paxos 발행 중단)

미국 달러 1:1 완전 담보 (과거 기준)

- NYDFS 승인 하에 발행되었으나- 2023년 이후 신규 발행 중단- 기존 유통분은 점차 회수 중

 

  1. 2. 암호화폐 담보형
    •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암호화폐를 담보로 설정
    • 담보 가치는 변동성이 있기 때문에 초과 담보(over-collateralization)가 필요함
    • 대표 예시: DAI(MakerDAO), sUSD(Synthetix)

이름

발행 주체

담보 자산

주요 특징

DAI

MakerDAO (탈중앙화 자율조직)

ETH, wBTC 등 다양한 암호화폐

탈중앙화, 과잉담보(보통 150% 이상), 스마트 계약 기반

sUSD

Synthetix

SNX (Synthetix 네이티브 토큰)

파생자산 거래에 사용, 담보비율 높음

MIM (Magic Internet Money)

Abracadabra.money

이자 발생 자산(이자형 토큰 포함)

여러 자산 기반으로 대출 후 발행

RAI

Reflexer Labs

ETH

가격 조정 기능을 갖춘 "비달러 페깅" 스테이블 코인

 

  1. 3. 무담보 알고리즘형
    • 중앙 담보 없이 알고리즘으로 공급량을 조절해 가치 안정성 유지
    • 예: 수요가 많아지면 공급을 늘려 가격을 낮추고, 수요가 줄면 공급을 줄여 가격을 올림
    • 대표 예시: FRAX, Ampleforth 

이름

발행 주체

담보 자산

주요 특징

FRAX

Frax Finance (Frax DAO)

부분 담보: USDC 등 법정화폐 + 자체 토큰(FXS)

- 세계 최초 부분 담보+알고리즘 하이브리드형 스테이블 코인- 담보 비율은 시장 상황에 따라 자동 조절- FXS(거버넌스 토큰)로 유동성 조절

Ampleforth

Ampleforth Foundation

담보 없음 (무담보, 알고리즘 기반)

공급량 자동 조절(Rebasing) 메커니즘 사용- 가격이 $1에서 벗어나면 공급량을 조절해 안정화- 스테이블 "가격 목표"는 있지만 전통적 담보 구조 없음

 

 

️ 왜 스테이블 코인이 필요한가?

  •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격 안정성이 필요한 경우
  • 거래소 간 자금 이동 시 환율 변동 없이 이동 가능
  • 디지털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기 좋음 (변동성 낮음)

 

 

️ 주의할 점은?

  • 완전한 안정성 보장 아님: 준비금이 부족하거나, 발행 회사의 투명성이 떨어지면 가치 붕괴 가능
  • 알고리즘형은 특히 리스크 큼 (예: 루나 사태)

 

 


미국의 지니어스 법과 스테이블 코인의 관계는?


미국의 지니어스 법(GENIUS Act: Guiding and Establishing National Innovation for U.S. Stablecoins Act)은 위 세 가지 스테이블 코인 유형 중 오직 1번 '법정화폐 담보형(Fiat-collateralized)'에만 해당된다. 또한 법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Permitted Payment Stablecoin Issuer (PPSI)가 발행한 스테이블 코인에만 해당된다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에 대해 더 자세히…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Fiat-collateralized stablecoin)은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현실 세계의 법정 통화(예: 미국 달러, 유로 등)를 직접 담보로 사용하는 디지털 자산이다. 가장 보편적이고 규제 친화적인 스테이블 코인 형태이며, 특히 미국의 지니어스 법(GENIUS Act) 같은 규제에서도 핵심적으로 다뤄진다.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 1개의 스테이블 코인 = 1 단위의 법정화폐
     예: 1 USDC = 1 USD

  • 발행사는 발행량만큼의 법정화폐를 은행 계좌나 신탁 계좌에 보관하며, 
  • 이를 담보로 삼아 코인을 발행,
  • 이용자는 언제든지 코인을 1:1로 법정화폐와 교환할 수 있어야 한다.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 작동 방식

단계

설명

① 담보 예치

사용자가 1,000달러를 입금하면, 발행사는 이를 은행에 예치하고 1,000개의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한다.

② 발행 및 유통

이 코인은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되며, 다른 사용자 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③ 상환 요청

사용자가 1,000개의 코인을 되돌려주면, 발행사는 1,000달러를 현금으로 상환합니다. 이때 코인은 소각된다.

 

 

 주요 특징

항목

내용

가치 안정성

담보가 법정화폐로 고정되어 있어 가치 변동성이 거의 없음

신뢰 기반

발행 기관의 투명성, 회계 감사, 은행 연계 등 실물 기반 신뢰 필요

규제 친화적

정부 규제 및 회계 기준에 따라 발행 가능 

GENIUS Act의 요건 충족 가능

사용 목적

크립토 거래, 디파이(DeFi), 국제 송금, NFT 결제 등 다양한 금융 활동에 사용됨

리스크 요인

은행 파산, 준비금 운용 실패, 사기 등 발행 기관의 리스크가 곧 사용자 리스크

 

 

 대표 사례

코인

발행사

준비금 구조

특징

USDC

Circle (미국)

현금 + 미국 단기 국채

미국 규제에 가장 가까움. 정기 감사, 높은 투명성

USDT

Tether 

(홍콩 기반)

현금, 상업어음 등 혼합

가장 많이 쓰이는 스테이블 코인이나 투명성 논란 있음

BUSD

Paxos (미국)

현금 + T-bills

NY 금융감독국(NYDFS) 승인 받았으나 현재 신규 발행 중단

PayPal USD (PYUSD)

Paxos 발행, PayPal 사용

100% 미국 국채 및 현금 담보

GENIUS Act에 부합하는 신세대 코인 모델로 평가됨

 

 


장점과 단점


✅ 장점

  • 높은 안정성: 1:1 환율과 법정화폐 기반 담보로 가격 변동 없음
  • 규제 수용성: 은행 및 정부 제도권과 연계 가능
  • 다양한 활용성: 디파이, 국제송금, 전자상거래 등에서 유용


❌ 단점

  • 중앙집중화: 발행사에 의존 → 탈중앙성 부족
  • 투명성 필요: 준비금 공개, 감사를 소홀히 할 경우 신뢰 하락
  • 법률 리스크: 특정 국가 규제에 따라 갑작스러운 서비스 제한 가능

 

 



한국에서도 스테이블 코인 관련 법제화 추진 중인가?

 

물론 한국에서도 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 코인의 법적 기반 마련을 위한 입법 활동이 아래와 같이 진행 중이다. 

 

항목

내용

입법 추진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Digital Asset Basic Act (디지털 자산 기본법) 통해 코인 발행 허용 검토 중 

자격 요건

최소 500백만 원(약368,000USD) 이상의 자본금 보유한 기업이 발행 가능, 금융당국(FSC)의 승인을 받아야 함 

준비금 요건

1:1 법정통화 대비 완전 준비금 보유,

월별 스트레스 테스트 등 투명성 확보 조치 포함 

발행 주체 제한 논의

한국은행 및 금융당국은 먼저 상업은행 중심으로 발행을 제한하고 점차 확대하는 방안을 선호 

외환 안정성 우려

원 기반 스테이블 코인이 달러 기반으로 쉽게 전환될 경우 금융시장·환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 존재

TAG
0
홈플러스 부동산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