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테슬라 주가가 가파른 반등세를 이어가면서 한국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10% 이상 상승하며 기술적 돌파 신호를 보여줬지만, 실적 둔화와 전기차 수요 약화, 경쟁사 공세 등 구조적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한다. 단순한 추격 매수보다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테슬라 주가가 다시 힘을 얻은 배경에는 ‘이야기’가 있다. 우선 시장은 로보택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FSD)와 같은 미래 성장 동력에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다. 최근 캘리포니아에서 일부 규제 퍼밋이 진전되고, 로보택시 앱 공개 소식이 전해지면서 “테슬라의 옵션 가치가 커지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 다른 축은 에너지 저장 사업이다. 테슬라의 메가팩(Megapack)과 같은 대형 배터리 저장 장치는 전력 수요 급증과 재생에너지 확산을 배경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일부 증권사들은 자동차 부문의 변동성을 상쇄할 카드로 에너지 사업을 지목한다. 자동차 기업을 넘어 에너지·AI·로봇 기업으로 진화한다는 스토리가 다시 주가를 끌어올린 셈이다.
하지만 테슬라의 기초 체력은 여전히 시험대 위에 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했고, 총마진도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엘론 머스크 최고경영자 역시 “앞으로 몇 분기는 거칠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미국 내 전기차 시장 점유율이 하락세에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중국 업체들의 저가 공세와 미국·유럽 완성차 기업들의 신모델 출시가 이어지면서 테슬라가 더 이상 ‘유일한 선택지’가 아닌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 내 전기차 세금 인센티브 축소, 멕시코 관세 추진 등 정책 변수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첫째, 에너지 사업은 자동차 부문을 넘어 테슬라의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다. 글로벌 전력망의 전환과 맞물려 고성장을 이어간다면 안정적인 수익 기둥이 될 수 있다.
둘째, 자율주행과 로보택시는 단기간에 성과를 담보하긴 어렵지만, 규제와 기술이 진전되면 밸류에이션을 끌어올릴 수 있는 카드다. 캘리포니아와 같은 지역에서 시험 영업이 본격화된다면 투자자 심리를 크게 자극할 수 있다.
셋째, 테슬라가 쌓아온 브랜드 파워와 충전 인프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역량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한다. 장기적으로 로봇 ‘옵티머스’와 같은 신사업도 투자자에게 옵션 가치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리스크 요인도 만만치 않다. 첫째, 실적 미스가 반복될 경우 주가 반등은 쉽게 꺾일 수 있다. 가격 인하 경쟁이 격화되고, 수요 둔화가 장기화되면 총마진 방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둘째, 규제 리스크다. 오토파일럿 관련 소송과 조사가 이어지고 있고, 로보택시 허가 지연 가능성도 존재한다. 규제 한 방에 ‘미래 스토리’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다.
셋째, 정책 변수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북미·멕시코·EU의 관세나 보조금 정책 변화가 판도를 뒤흔들 수 있고, 글로벌 경기 침체가 겹치면 전기차 소비 수요 자체가 줄어들 수 있다.
그렇다면 지금 테슬라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할까. 전문가들은 “추격 매수보다는 분할 매수와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단기 급등 구간에서는 소액으로 접근하고, 주가가 눌릴 때마다 일정 비율씩 추가 매수하는 방식이 적절하다는 조언이다.
비중 역시 전체 투자자산의 5~10% 선에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슬라는 변동성이 큰 종목이기 때문에, 손절 라인과 익절 규칙을 미리 세워 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실적 발표나 규제 뉴스가 있을 때마다 포지션을 재점검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전략이다.
테슬라는 지금도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스토리를 제공하고 있다. 에너지 저장장치 사업은 안정적 성장을, 로보택시와 자율주행은 미래의 옵션 가치를, 브랜드와 생태계는 장기적 진입장벽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적 둔화, EV 수요 약화, 경쟁 격화, 규제와 정책 변수라는 리스크도 분명히 존재한다.
따라서 한국 투자자 입장에서는 테슬라를 ‘올인’할 대상이 아니라, 포트폴리오의 일부로서 장기 분산 투자 전략 속에서 접근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지금의 반등세는 분명 긍정적 신호지만, 그것만으로 무조건적인 상승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결국 승부는 에너지와 자율주행 사업의 현실화, 그리고 실적 개선 여부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