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연봉 2억 vs 8천만... 석박사들 해외로 떠나는 이유
  • 이시한 기자
  • 등록 2025-08-13 09:31:00
기사수정
  • "한국 석박사, 美로 줄줄이 탈출... 연봉 3배의 유혹"
  • "브레인 드레인 비상! 석박사 6,200명 해외行, 왜?"
  • "한국 인재 유출 심각... 석박사들, 미국서 꿈 찾는다"


심화되는 브레인 드레인 위기


한국의 고급 인재 유출, 이른바 '브레인 드레인' 현상이 올해 들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석·박사 졸업생 중 약 6,200명이 해외 취업이나 연구직으로 이동했다. 이는 지난해 대비 15% 증가한 수치로, 주로 미국, 캐나다, 독일 등 선진국으로의 유출이 두드러진다. 팩트체크 결과, OECD 보고서(2025 AI Index)에 따르면 한국은 AI 분야에서 net loss 0.36명(만명당)으로 38개 회원국 중 35위에 그치며, 4번째로 큰 브레인 드레인을 겪고 있다. 이는 2022년 30,000명 이상의 고급 인재 순유출(OECD 데이터) 추세가 지속되는 것으로 보인다.


연봉 격차와 연구 환경의 갈림길

이 현상의 배경에는 국내 연구 환경의 열악함이 자리 잡고 있다. 한 서울대 박사 출신 연구원 B씨(32)는 인터뷰에서 "국내 연구소에서 연봉 8,000만 원을 받지만,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 제안은 2억 원을 넘는다. 게다가 교수나 상사의 '갑질' 없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Stanford University AI Index 2025에 따르면, 한국 AI 전문가의 해외 이동은 2021~2025년 중반까지 119명의 교수급 인재 유출로 이어졌으며, 이 중 18명이 해외로 갔다. 반도체·바이오 분야도 마찬가지다. 2023년 기준으로 공학 박사 4,872명 중 상당수가 해외를 선택했으며, 이는 2014년 대비 38.8% 증가한 졸업자 수에도 불구하고 국내 일자리 부족 탓이다.


유출의 세 가지 원인

원인을 깊이 파헤쳐보자. 첫째, 처우 격차다. 한국의 R&D 투자 GDP 비율은 4.5%로 미국(3%)을 앞서지만, 분배가 불균형하다. NSF(미국국립과학재단) 자료상 한국 박사 취득자의 미국 체류율이 높아지는 이유는 연구비 부족과 경직된 계층 구조 때문이다. 한 예로, KAIST나 POSTECH 같은 명문대에서도 2021~2024년 182명의 학생이 의대·치대로 전환하며 이공계를 포기했다. 이는 의사 연봉(1,922만 원)과 대기업 연구원(584만 원)의 격차가 반영된 결과다. 둘째, 연구 자유도 문제. 국내 대학·연구소의 권위주의 문화가 젊은 인재를 밀어내고 있다. "아이디어를 제안해도 선배나 교수가 무시하거나 도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증언이 쏟아진다. 셋째, 글로벌 경쟁 심화. 미·중 무역전쟁 속 미국이 EB-1/2 비자를 확대하며 한국 인재를 적극 유치하고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인 EB 비자 발급이 증가한 바 있다.


국가 경쟁력에 미치는 파장

사회적·경제적 파장은 크다. 한국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분야에서 젊은 인재가 해외로 빠져나가며 국내 칩 설계·제조 혁신이 지연되고 있다. Korea Herald(2025.7.7) 보도에 따르면, 9대 국립대에서 2021~2025년 323명의 교수가 이직했으며, 이는 AI·자율주행 분야에 치명적이다. Straits Times(2025.7.7)도 "한국의 브레인 드레인이 73억 달러 AI 투자 계획을 위협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환경 개선이 급선무"라고 입을 모은다. 한 경제학자는 "장기적으로 R&D 예산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교수 평가 시스템을 개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 대응의 한계

정부의 대응은 미흡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MSIT)는 '브레인 리턴' 프로그램을 통해 세제 혜택과 연구비 지원을 확대했으나, 효과는 제한적이다. 2025년 4월 KISTEP 보고서에 따르면, 귀환율은 20% 미만이다. 대신 해외 유학 지원을 늘려 '브레인 순환'을 도모하지만, 이는 유출을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최근 국회에서 "인재 유출 방지법" 논의가 시작됐으나, 구체적 실행은 미정이다.


문화혁신이 핵심

이 문제는 단순 처우가 아닌 '문화 혁신'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젊은 인재들이 "국내에서 꿈을 펼치고 싶다"고 느낄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2025년은 정책 변화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만약 유출이 지속되면, 한국의 미래 성장 동력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 정부와 기업, 대학이 협력해 '인재 머무는 나라'를 만들어야 할 때다.

1
홈플러스 부동산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