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서학 개미가 주목하는 서클은 어떻게 될까?
  • 에릭 한 경제 전문기자
  • 등록 2025-07-11 21:37:58
기사수정


서클(CRCL) 주가 전망: 앤트그룹 협력과 변동 시점 분석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인터넷 그룹(Circle Internet Group, NYSE:CRCL)의 주가가 2025년 6월 5일 뉴욕증권거래소(NYSE) 상장 이후 큰 변동성을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최근 앤트그룹(Ant Group)과의 협력 소식이 단기 호재로 주목받고 있다. 본 기사는 최신 확인된 정보를 바탕으로 서클의 주가 흐름, 앤트그룹 협력의 영향, 그리고 향후 주가 변동 시점을 분석한다.



1. 서클 주가: 상장 이후 급등과 최근 동향

서클은 2025년 6월 5일 NYSE에 상장하며 공모가 31달러로 시작해 첫날 83.23달러로 마감, 168% 상승을 기록했다. 6월 6일에는 장중 최고 103.75달러를 찍으며 공모가 대비 약 235% 상승했고, 6월 7일에는 48% 추가 상승해 123.49달러까지 올랐다. 그러나 이후 주가는 변동성을 보이며, 6월 말 기준 약 200달러 안팎에서 횡보 중이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180억~320억 달러 수준으로, 상장 당시 기업가치(69억 달러)의 2.6~4.6배에 달한다.

7월 10일, 앤트그룹이 USDC를 자사 블록체인(앤트체인)에 통합한다는 소식이 발표되며 장전 거래에서 주가가 5.4% 상승했다. 이는 시장의 낙관적 기대를 반영하며, 서클의 글로벌 확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2. 주가 움직임의 주요 동인

서클 주가의 변동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 규제 환경, 그리고 전략적 파트너십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


(1) 앤트그룹과의 협력: 단기 호재

2025년 7월 10일, 앤트그룹이 서클의 USDC를 앤트체인에 통합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블룸버그를 통해 보도되며 주목받았다. 앤트그룹은 알리페이를 통해 연간 1조 달러 이상의 거래를 처리하고 16억 사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핀테크 리더다. 이 협력은 USDC를 활용해 국경 간 결제의 비용(기존 SWIFT 7~10% → USDC 1% 미만)과 정산 시간(수일 → 초 단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시장 반응: 협력 소식으로 7월 10일 장전 거래에서 주가가 5.4%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확인했다.

  • 글로벌 확장성: 앤트의 네트워크는 홍콩, 싱가포르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USDC 채택을 확대할 전망이며, 이는 USDC 시총(2025년 3월 기준 614억 달러, 시장 점유율 24%)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규제 준수: 앤트그룹은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조례(2025년 8월 시행) 및 싱가포르, 룩셈부르크의 라이선스를 신청 중이며, 이는 서클의 규제 친화적 이미지와 시너지를 낸다.

다만, 협력의 구체적 타임라인은 아직 불명확하며, 중국 본토가 아닌 해외 시장(앤트 인터내셔널)을 타겟으로 한다는 점에서 중국 내 규제 제약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2) 스테이블코인 규제와 GENIUS Act

2025년 6월 17일, 미국 상원이 GENIUS Act를 통과시키며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100% 준비금 보유, 월별 공개, 연방/주 감독을 의무화했다. 이는 서클의 규제 준수 강점(뉴욕 BitLicense, MiCA 준수 등)을 부각시키며 경쟁사 테더(USDT, 시총 1537억 달러) 대비 우위를 강화했다.法案 통과로 주가는 6월 18일 33% 상승했다.

하원 표결은 2025년 7월 중순(크립토 위크, 7월 14일~) 예정으로, 통과 시 규제 명확화가 서클의 제도권 편입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서클은 최근 국가 신탁은행 설립(First National Digital Currency Bank, N.A.)을 신청하며 규제 준수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3) 전통 금융 및 파트너십

서클은 골드만삭스, JP모건, 씨티그룹의 IPO 주관 참여를 통해 전통 금융과의 연결고리를 구축했다. 코인베이스와의 수익 분배(USDC 매출 50% 공유, 코인베이스 플랫폼 내 USDC 이자 100% 귀속)는 안정적 수익원을 제공한다. 또한, 피서브(Fiserv)가 2025년 말까지 자사 네트워크에 스테이블코인을 추가할 계획이며, 이는 USDC 중심일 가능성이 높다. OKX와의 최근 협력(60백만 사용자 대상 1:1 USDC 변환)도 글로벌 접근성을 강화한다.

앤트그룹 협력은 이러한 파트너십의 연장선으로, HSBC, JP모건 등 기존 앤트체인 사용자들이 USDC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4) 시장 과열과 조정 압력

서클의 높은 주가수익비율(PER, 추정 2600배 이상)은 과열 우려를 낳는다. 2024년 매출 17억 달러 중 99%가 준비금 이자수익에서 발생하며, 이는 금리 변동에 민감하다. ARK인베스트먼트의 IPO 당시 1.5억 달러 지분 매입 후 일부 차익 실현은 단기 조정 요인으로 작용했다.



3. 주가가 움직일 시점은?

서클 주가의 다음 변동 시점은 아래 요인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1) 단기 촉매 (1~3개월 내)

  • 앤트그룹 협력 구체화: 협력 타임라인 및 지원 국가(홍콩, 싱가포르 등) 발표 시 주가가 220~240달러로 상승할 수 있다.

  • GENIUS Act 하원 표결: 7월 중순 표결에서 통과 시 주가가 250달러 이상으로 반등 가능. 부결/지연 시 180달러 이하로 하락할 리스크 존재.

  • 금리 정책: 연준의 9월 FOMC에서 금리 인하가 가시화되면 이자수익 감소로 주가 하락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 국가 신탁은행 설립: 신청 승인 시 규제 신뢰도가 높아져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


(2) 중장기 전망 (6개월~1년)

  •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 씨티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2030년까지 1.6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USDC는 규제 준수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 경쟁 심화: 테더(USDT, 시장 점유율 61%)와의 경쟁 및 신규 스테이블코인 진입은 점유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높은 PER은 밸류에이션 조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평균 목표 주가(220달러)로 수렴할 수 있다.




4. 투자자 유의사항

서클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성장과 앤트그룹, 코인베이스 등 파트너십으로 큰 잠재력을 갖고 있지만, 아래 리스크를 고려해야 한다:


  • 높은 밸류에이션: PER 2600배 이상은 코인베이스(57.71배), 로빈후드(43.63배) 대비 높아 조정 가능성 존재.

  • 금리 의존성: 2024년 매출 17억 달러 중 99%가 이자수익 기반으로, 금리 인하 시 수익성 하락 리스크.

  • 규제 불확실성: GENIUS Act 하원 표결과 중국의 암호화폐 규제(앤트 협력은 중국 본토 제외)가 변수.

  • 경쟁 리스크: 테더의 시장 지배력(시총 1537억 달러) 및 신규 스테이블코인 진입 가능성.




서클 주가는 앤트그룹 협력과 GENIUS Act 상원 통과로 단기 상승 동력을 얻었으며, 7월 중순 하원 표결과 협력 구체화가 주요 촉매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과 규제 친화적 파트너십이 주가를 견인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높은 밸류에이션, 금리 의존성, 규제 불확실성은 신중한 접근을 요구한다. 서클은 디지털 금융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 잡을 잠재력을 갖췄지만, 변동성 관리와 리스크 인식이 필수적이다.

1
홈플러스 부동산
국민 신문고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